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데스크탑

NAS용 하드디스크 구매는 이것으로 해야한다.


 NAS용 하드디스크는 무엇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NAS에 넣게되는 하드디스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NAS는 최근 시놀로지와 아이피타임등의 업체에서 소비 전력은 적으면서 사용 가능한 가정용 서버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그래서 보통 NAS하면 개인 클라우드 개인 홈페이지 스트리밍 등의 작업이 가능한 서버입니다.


그리고 이런 좋은 기능을 내게 해주는 하드디스크를 선택을 하는데 많이 고민을 하고 계신 경우가 많아 이번에 NAS용 하드디스크에 대해 적어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불과 2~3년 전만해도 기업체나 전문가들만 사용하던 NAS가 활성화 되고 그에 따른 하드디스크의 수요도 높아졌지만 개인용에 주로 쓰이는 하드디스크는 안정성이 떨어져 나중에 데이터가 포맷 되거나 하는 불상사를 겪어야 되는데 이 글을 보시면 그런 일을 당하지 않아도 되겠죠?


그럼 시작합니다.


NAS용 하드디스크 또는 SSD 어느것이 좋은가?


가끔 이런 질문을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최근 SSD의 가격이 내려가고 속도도 빠르니 SSD가 NAS에 무조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정답은 NO 입니다. 바로 NAS를 서버용으로 쓴다면 통상 랜 속도는 초당 10메가 내외로 받게 되는데요 하지만 일반 하드디스크는 통상 120~160메가까지의 읽고 쓰는 속도가 나오고 SSD의 경우는 400~550메가의 속도가 나오죠. 즉 넘치는 속도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또한 국내에 시작된 기가비트랜의 경우도 최대속도는 100메가 이하이기 때문에 SSD를 쓰지 않는다고 하여 속도가 내려가고 성능이 떨어지는 일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SSD가 무조건 않좋은 것은 아닙니다. 바로 SSD의 가장 큰 장점인 소비전력인데 NAS의 구성 요소중 필수중 하나가 적은 소비전력인데 이를 하드디스크가 아닌 SSD로 구성할 경우 매우 뛰어난 전력 소비량을 가질 수 있을 것 입니다.



전송 방식은 어떤걸 쓰는가?


컴퓨터 시장 초기에는 EIDE라는 케이블을 사용했는데요 얼핏 보기에는 선도 량이 많아보이고 해서 전송 속도가 빨라 보일 수 있으나 최근에 나온 SATA3 방식에 비해 속도가 약 4배~5배 느린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 바로 통상 EIDE 케이블은 133MB/S SATA, 150MB/S, SATA2 300MB/S, SATA3 600MB/S의 고유속도를 가지므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는 SATA3 케이블에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중 하나입니다.



하드디스크의 RPM은 얼마인가?


자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RPM인데요, 요즘 제작되는 개인용 하드디스크의 경우 통상 7200rpm의 속도를 가지는데요 보통속도이긴 하지만 NAS에서 사용될 경우 전력소모가 심할 수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빠른 RPM을 가진 하드디스크가 빠르고 좋은 건 맞지만 너무빠른 10000RPM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경우 유지비의 부담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생각하고 골라야 할 것입니다.




하드디스크의 버퍼(캐쉬) 용량은?


자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버퍼 용량인데요 버퍼(캐시) 메모리는 16MB, 32MB, 64MB 등으로 구분되고 있고, 이러한 버퍼 메모리는 HDD의 느린 속도를 보완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HDD는 상당히 느린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버퍼 메모리를 활용하여 CPU 혹은 RAM 등에서 HDD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양쪽의 속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버퍼 메모리는 클 수도록 좋습니다.



MTBS 내구성 확인?


MTBS란 Mean Time Between Failures 의 약자로 통상 하드디스크의 통상적인 내구성을 나타내는 표시인데요. 일반 데스크탑 하드디스크의 경우 보통 500,000시간의 MTBS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나스 전용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두배 높은 1,000,000시간의 MTBS의 내구성을 가집니다.


그리고 나스 전용 하드디스크의 경우 데이타 보존에 촛점이 맞춰졌기에 일반 하드디스크에 비해 물리적인 안정성이 더 높게 설계되었고 이런 이유에서 나스전용 하드디스크가 일반 데스크탑 하드디스크보다 가격이 30%이상 비싼 이유기도 합니다.


마치며


자 위의 자료로 답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NAS의 사용량도 많고 그에 따른 하드디스크의 사용도 무시 할 수는 없지만 충분하게 백업이 잘되는 시스템에서 NAS를 구동하고 개인만 사용하는 NAS서버라면 저렴한 개인용 하드를 사용해도 무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한 장치를 다루는 사람에 따라서도 장비의 수명은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있어서 선택은 고객들이 해야하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NAS용 하드디스크 구매는 이것으로 해야한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